top of page
Duksung women's Univ. Residential College Dormitory

Location :  Seoul, Republic of Korea

Use :  University Dormitory

Site Area : 

Building Area : 

Building Coverage : 

Gross Floor Area : 

Floor Area Ratio : 

Building Scope : 

Height : 

Structure : 

​Photographs :  Kirak Sohn 

​Project Partner :  Kirak Sohn 

(Concept Design, Design Development,

Design Management) 

RC 기숙사는 우리에게 생소했다.

찾아보니 1,2년 사이 실행에 옮긴 국내 학교들이 몇몇 생기고 있는 시점이었다.  

 

레지덴셜 칼리지 시스템은 멀게는 옥스포드와 캠브리지에서 시작되었고, 그 다음 정착되었던 것이 예일과 프린스턴 하버드 같은 아이비리그 대학들 그리고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리버럴아츠컬리지의 명문들이 있다.

 

그런데 수백년의 세월을 띄어 넘어 최근 국내 대학에서 이를 가져오기 시작한 것은 어떤 배경인지는 모른다. 장점이 분명 있기 때문이고 그것을 담는 장치물이 될 수 있는 것에 집중했다. 

 

기존 레지덴셜 칼리지 사례에서 특성을 살펴보면 칼리지별로 별도의 문화와 커뮤니티가 만들어져 있고, 이것은 캠퍼스 내에서 고유의 역사와 가치로 인정되며 나아가 때로는 대학의 동문보다도 더 강한 유대와 자부심을 갖는 경우도 있다. 

 

이런 내용은 제안에서 '보호된 커뮤니티와 개방'에 대한 생각으로 정리되었다. 

레지덴셜 칼리지 구성원들이 누리는 구분된 커뮤니티가 만들어질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필요에 따라 캠퍼스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개방되고 그들과 관계할 수 있는 장소이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Upper Ground + Lower Ground, 두 개의 지반을 갖는 건물이 되고자 했다. 

보호된 그라운드와 개방된 그라운드가 있고 그 사이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설이 계획되는 것이다. 이는 RC 기숙사 자체가 운영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 시스템을 수용하면서 외부와 연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는 장치가 된다. 하지만 건물이 고정된 물리적인 환경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를 수용하는 것이 되어야 하며 두 개의 그라운드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장치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written by K. Sohn]

© 2017 by LAB P.AUL'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