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 p.AUL's

Camping Theater
Location : Seoul, Republic of Korea
Use : Campground, Training Institute
Site Area :
Building Area :
Building Coverage :
Gross Floor Area :
Floor Area Ratio :
Building Scope :
Height :
Structure :
Photographs : Kirak Sohn
Project Partner : Kirak Sohn
(Concept Design, Design Development,
Design Management)
청평호가 내려다 보이는 위치에 서보기도 하고 또 청평호에 손이 닿을 만치 가까운 곳에 서 보기도 한다. 그렇게 넓은 땅이고 넓게 트인 땅이다.
한 기업이 수 년전 호화주택단지로 설계되고 인허가까지 났던 땅을 인수하였다. 입지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었으면 하는 것이 큰 틀이고, 가깝게는 캠프 사이트로 개발하여 점차적으로 기업과 일반고객이 활용할 수 있는 연수기능의 캠핑장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컴피티션 단계에서 내가 제안했던 핵심은 2가지였다. 지형을 이용한 Camping Theater가 되도록 하는 것과 기존 주택단지로 허가된 상태를 법적인 범위 내에서 캠핑사이트로 개발하는 것이다. 결국 이 2가지 제안이 차별화로 인식되어 설계자로 선정될 수 있었다. 물론 지금은 기업 환경 변화로 자산정리 과정에서 프로젝이 멈추었지만,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었던 프로젝이었다.
작업을 하는 동안 줄곧 이슈가 되는 것은 3가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먼저 단기적인 수익모델에 프로그램을 맞춰 갈 때 장기적인 발전 방향과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가이고, 둘째는 지형에 따른 배치를 하되 이 또한 철저히 프로그램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며, 셋째는 유닛 모델이다.
유닛 모델의 경우, 자가텐트 사용자들부터 글램핑과 캐빈을 이용하는 사용자들까지, 그리고 이들의 거주성을 돕기 위한 편의시설과 이 모두를 서비스하기 위한 관리시설까지 다양한 형태의 유닛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것은 자연히 시공방법에 대한 이슈로 연결되기도 한다. 장기적으론 건축 행위와 범위에 대한 여러 가지 고민을 할 수 있었던 프로젝이었다.
[written by K. Soh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