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EDI Building

Location :  Jincheon, Republic of Korea

Use :  Research Institute

Site Area : 

Building Area : 

Building Coverage : 

Gross Floor Area : 

Floor Area Ratio : 

Building Scope : 

Height : 

Structure : 

​Photographs :  Kirak Sohn 

​Project Partner :  Kirak Sohn 

(Concept Design, Design Development,

Design Management) 

연구원들이 모여 있는 공동체의 모습을 상상해보았다. 더우기 서울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연구소의 입지를 고려하면 서울처럼 주변의 밀도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과는 다르게 밀도는 오직 연구소 그 자신의 공간에서만 해당되는 얘기이며, 여기에 연구원들의 일상을 담아내는 생태계가 녹아든다면 어떠한 모습일까 상상해본다. 

 

목적이 분명하면서도 다양성이 잠재되어 있는 연구 행위는 자연스럽게 연구 환경으로 치환될 수 있다. 하나의 위계조직이면서도 소그룹 또는 개인이 독립체로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일반기업과는 다른 모습을 갖는다는 생각을 했다. 

 

원심력이 작용하는 듯한 환형의 구조는 구심점이 상존하지만 연속되는 하나의 공간이 흐르는 것이어서 조직의 성격과 크기에 따라 점유하는 공간의 크기가 작아질 수도 커질 수도 있는 것에 대응할 수가 있다.

 

등분포 Grid로 전체가 일관된 덩어리로 표현되는 것은  모든 연구 행위는 기본적으로 동등한 비중을 갖는 것에서 출발하지만 상황에 다라 구심점이 생기고 그루핑되는 것이 언젠가는 나타날 수 있다는 것과 그것 또한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공통적인 것은 가운데 부분을 비운 것이다. 그 형식이 서로 조금은 다르지만 한 단계 걸러진 외부공간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고 언젠가는 공간이 주는 물리적인 한계에 좀 더 유현해질 수 있는 장치로서 공간을 남겨둔 것이다. 

 

[written by K. Sohn]

© 2017 by LAB P.AUL's

bottom of page